2022 수완 박완서 [환각의 나비]: 수능 D-100. 너희를 위해 찾아왔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예지샘입니다. 😄
잘 지내고 있었죠? 날도 덥고, 방역 4단계라 많이 힘들겠지만!
그래도 모두모두 힘내서 오늘도 샘과 함께 수능 완성을 완전 정복해볼까요?

오늘 여러분과 함께 볼 작품은 박완서의 <환각의 나비>라는 작품입니다.
유명한 작가의 유명하지 않은 작품이라, 실제로 이 책을 읽어본 친구들은 많지 않았을 텐데요.
처음 보는 작품이라고 긴장하지 말고! 샘과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소설의 내용을 아주 간략하게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총 1번~4번까지의 소제목 밑에서 내용이 전개되는데요.
1번: '그 집'에 대한 설명과 묘사
2번: '영주'와 치매를 앓는 '어머니'의 이야기. '의왕터널'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갈등
3번: '그 집'에 사는 '마금이'의 이야기. '마금네'의 돈 욕심으로 인해 도구로서 살던 '마금이'가 '어머니'를 만나게 됨
4번: '그 집'에서 '어머니'를 찾은 '영주'가 '어머니'를 환상 속의 나비 같다고 생각함
조금 더 자세한 줄거리는 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해서 봐주시면 됩니다. 😎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공부하실 때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핵심 정리로 다시 한번 살펴볼까요?
갈래 : 단편 소설
성격 : 사실적, 환상적
배경 : 현대 (시간적) / 서울과 서울 외곽 지역 (공간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2, 4번은 '영주'가 초점 화자
3번은 '마금이'가 초점 화자
주제 : 생명의 본원적 가치에 대한 존중과 돌봄의 윤리 의식
특징
- '그 집', '과천', '의왕터널' 등 장소의 상징성을 활용해 주제 의식을 집약적으로 드러냄
- '영주'와 '마금이'를 초점 화자로 내세우는 전지적 작가 시점을 활용해 내용을 전개
- '치매 노인에 대한 돌봄'이라는 소재를 중심 소재로 하여, 현대의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고 있음

어때요! 샘과 같이 보니까 어렵지 않았죠? 다 알아요~
그럼 지금부터는 조금 더 깊이 있는 이해를 같이 해보겠습니다!
먼저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 및 특징을 살펴보죠.
- 어머니: 하숙을 치면서 자녀들을 길러냄. 모성애를 가진 인물. 타인을 돌보는 것에 익숙함. 현재 치매를 앓는 중
- 영주: 어머니와 함께 동생들을 키워냄. 다소 예민하지만 정이 많은 인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어머니를 찾음
- 영탁: 영주의 남동생. 현재의 가정에는 충실하지만, 어머니를 모시는 일은 내켜하지 않음.
장자로서의 의무감과 체면치레에 중심을 둠
- 마금네: 딸을 돈벌이 수단으로만 바라보는 인물. 탐욕스럽고 계략적임
- 마금이: 처녀 점쟁이이자 자연 스님. 기민한 눈치로 점쟁이로 사는 인물.
영주의 어머니와 함께 살게 되면서 처음으로 가족의 정을 느끼게 된 인물
이제, 소설 속에 등장하는 장소 및 소재가 상징하는 것을 알아볼까요?
- 그 집(천개사 포교원): 과거부터 이어져 온 공간을 의미. '어머니'가 자유로움과 평온함을 느끼는 공간
- 종암동 집(하숙을 운영하던 집): 어머니가 주체적으로 공간을 가꾸어 나갔던 곳이자 삶의 터전. 어머니의 생애를 상징
- 과천: '어머니'가 느낄 때 중립적인 공간.
- 의왕터널: 이 소설 속에서는 아들의 집을 상징. 우리나라의 아들 선호 사상을 의미하기도 함
- 영탁의 집: 장자로서의 의무감과 책임감을 의미
- 영주의 집: '어머니'가 할머니로서 손자 손녀들을 키우며 살던 공간
- 나비: 모든 굴레에서 벗어나 진정한 평화와 자유로움을 누리는 모습을 상징
다음으로는 주요 갈등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영주 vs 영탁 : '어머니'를 모시던 장녀와 '어머니'를 모셔야 하는 장남으로서의 갈등
- 마금네 vs 마금이: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딸을 대하는 어머니와 '돈'에는 관심이 없는 딸과의 갈등
이런 갈등 구조를 통해 작가는 '돌봄'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 '노인 문제', '가족 문제'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죠. 그리고 사회에서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들 (ex. 장남이 어머니를 모셔야 한다) 같은 것들에 대해서도 '정말 그것이 당연한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끔 하고 있습니다.

짝짝짝!! 여기까지 잘 따라온 친구들~ 완전 칭찬해! 💚💜
지금까지 배운 것들은 모두 중요한 것들이니 잊지 말고 기억해야겠죠?
그럼 기왕 여기까지 왔으니 조금 더 힘내서 간접 연계로 나올만한 것들은 무엇이 있을지 같이 살펴봅시다.
1. 비슷한 주제 의식
살아온 무게를 털어버린 가벼움 : 이상 <날개>
생명의 본질적 가치에 대한 존중: 김원일 <나는 누구인가> , 박완서 <해산 바가지>
2. 치매 노인이라는 소재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
신경숙 <엄마를 부탁해>(표절 관련 이슈가 있던 작가라 출제될 확률은 낮아요!)
김인숙 <거울에 관한 이야기>
3. 초점 화자를 내세운 대표작들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염상섭 <삼대>
이 이외에도 많이 있지만, 최근에 EBS에서 다룬 작가들을 위주로 해서 가져와 봤습니다.
참고 삼아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각 작품의 내용들은 앞으로 쭈-욱 함께 살펴볼 것이니까, 기대! 많이 해주시고요. 😃

오늘도 고생 많았습니다.
벌써 100여 일밖에 남지 않은 수능이지만, 이렇게 한 걸음씩 나아가다보면 어느새 완성되어 있을 거예요.
항상 샘이 응원한다는 거, 잊지 말고!
질문 있으면 유튜브나 블로그에 댓글로 남겨주세요!!
사랑합니다, 여러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