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한예지11 2023 수특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 짐승같은 달의 숨소리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오늘도 열공하는 시간! 가져볼까요? 오늘 같이 볼 소설은 과연 어떤 내용인지, 궁금해하면서 출발! 오늘 여러분과 함께 살펴볼 소설은 2023학년도 에 실려있는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이란 소설입니다. (왼손잡이가 과연 유전이 되느냐 아니냐에 대한 논란에 불을 붙였던 소설) 어려운 내용의 소설은 아니기도 하고, 교과서에도 많이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라 대부분 많이 접해봤을 만한 소설입니다. 그러니까 즐거운 마음으로! 함께 볼게요. 😄 이 소설은 떠돌아 다니면서 물건을 파는 장돌뱅이 삶을 사는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주요 줄거리입니다. 그리고 그에 걸맞게 그들의 대화는 봉평 장터에서 대화 장터로 이동하는 밤길에 이루어지죠. 이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에 대한 묘사는, 이 소설의 백미(白眉:.. 2022. 4. 26. 2023 수특 이태준 [달밤] : 어수룩한 황수건의 이야기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문학으로 찾아온 건 오랜만이죠? 이제 완연한 봄입니다! 점점 따뜻해지는 날씨에 맞춰, 열공하는 시간! 가져볼까요? 오늘 여러분과 함께 살펴볼 소설은 2023학년도 에 실려있는 이태준의 [달밤]이란 소설입니다. 어려운 내용의 소설은 아니기도 하고, 교과서에도 많이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라 대부분 많이 접해봤을 만한 소설입니다. 그러니까 즐거운 마음으로! 함께 공부하면 좋겠죠? 😄 이 소설은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성북동이라는 장소를 공간적 배경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때 성북동은 지금 여러분이 알고 있는 것과 달리 서울 사대문 밖에 위치한 곳이었기에 시골이자, 가난한 조선 사람들이 모여 살던 곳이었습니다. '나'라는 등장인물(서술자) - 1인칭 관찰자 시점는 성북동으로 이사.. 2022. 4. 10. 2022 수완 이청준 [소문의 벽]: 정체를 감춘 감시자에 대한 공포 👀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제 수능이 한달 정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모두 공부 잘 하고 계신가요? 많이 긴장되시겠지만, 끝까지 열심히 하면 좋은 결과 있을 거라고 믿으면서 오늘도 즐겁게 출발해봅시다! 오늘 여러분과 함께 살펴볼 작품은 2022 수능완성에 실려있는 이청준의 [소문의 벽]이란 소설입니다. 문제집이나 모의고사 지문에서 자주 봤던 작품이죠? 액자식 구성인데다가 상징적 소재가 많은 작품이기 때문에 꽤 난해하게 느껴졌을 법한 작품입니다. 하지만 항상 그래왔듯이 샘과 같이 공부하면 어렵지 않다는 거, 오늘도 같이 확인해보겠습니다~ 이 소설은 '나'라는 서술자가 '박준'이라는 인물이 "왜 미친 것일까"를 추리해나가는 과정을 외부 이야기로 하면서, '박준'이 쓴 소설이나 인터뷰 기사와 같은, 그에 대한 힌트.. 2021. 10. 12. 2022 수완 오정희 [전갈]: 무기력에서 벗어나고 싶은 숨겨진 욕망🦂 안녕하세요. 예지샘입니다. 정말 완연한 가을이 왔네요. 파란 하늘~ 파란 하늘 꿈이♪ 생각나는 하늘이었습니다. 조금만 더 힘내서 가면 됩니다. 레고~ 레고~ 🎢 오늘 여러분과 같이 볼 작품은 오정희의 [전갈] 입니다. 이 소설 역시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여러분이 다소 어렵게 느꼈을 법한 소설입니다. 어떤 내용의 작품인지, 같이 살펴볼까요? 소설의 주인공은 '그 여자'라고 불리는 40살의 중년 여성입니다. 소설은, 해외 근무를 나간 남편이 돌아오기 하루 전, 아이들과 '그 여자'가 함께 산책에 나서는 것으로 시작되는데요. '겨울이 오기 전 햇빛을 많이 쬐어 두어야만 해. 겨울은 어둡고 길단다' 소설의 처음 시작 부분에서 나오는, '그 여자'가 아인들에 하는 이 말은 이어질 소설의 분위.. 2021. 9. 28. 2022 수완 이제하 [초식]: 육식 세상에 저항하려는 몸부림 안녕하세요. 예지샘입니다. :D 모두모두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나요? 이제 수능까지 72일 남았습니다. 그동안 열심히 노력해왔던 시간들을 다시 되돌아보면서!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샘과 함께 달려가 보아요! 오늘 샘과 함께 볼 작품은 이제하의 [초식]이라는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서사적인 유기성이 약한 작품이라 여러분이 스토리를 파악하는 데 어려웠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아예 안 보고 수능장에 들어가자니 불안불안한 것도 사실이죠? 그런 여러분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갓예지) 기존 사회에 대한 저항의 방법으로 채식을 선택한 주인공의 마음을 이해하면서! 영상을 같이 보아요~ https://youtu.be/dpETOVqoorU [예국생] 2022 수완 이제하 초식 : 육식의 세상에 저항하려는 몸부림 안녕.. 2021. 9. 8. 2022 수완 황순원 [곡예사]: 피에로의 슬픔을 같이 공감해볼까요? 🤡 안녕하세요, 여러분! 예지샘입니다. 😃 비가 오는 날이네요. 잘 지내고 있죠? 얼마 남지 않은 수능일에 긴장도 되고 걱정도 되고 할텐데요. 지금 여러분이 노력한 만큼, 좋은 결과가 나올겁니다. 😘 노력하고 있는 지금 이 시간을 믿어주세요 💚 오늘 여러분과 함께 살펴볼 작품은 2022 수능 완성에 실려 있는 황순원의 라는 작품입니다. 곡예란, 1. 줄타기, 곡마, 요술, 재주넘기, 공 타기 따위의 연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아슬아슬할 정도로 위태로운 동작이나 상태 이런 뜻인데요. 곡예사는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아마도 누군가를 빗댄 말인거 같죠? 과연 누구를 가리키는 말인지, 같이 살펴보도록 할게요! 이 소설은, 6.25 전쟁 당시 대구와 부산으로 피난을 간 '나'와 가족들의 이야기가 중심.. 2021. 8. 24. 2022 수완 박완서 [환각의 나비]: 수능 D-100. 너희를 위해 찾아왔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예지샘입니다. 😄 잘 지내고 있었죠? 날도 덥고, 방역 4단계라 많이 힘들겠지만! 그래도 모두모두 힘내서 오늘도 샘과 함께 수능 완성을 완전 정복해볼까요? 오늘 여러분과 함께 볼 작품은 박완서의 라는 작품입니다. 유명한 작가의 유명하지 않은 작품이라, 실제로 이 책을 읽어본 친구들은 많지 않았을 텐데요. 처음 보는 작품이라고 긴장하지 말고! 샘과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소설의 내용을 아주 간략하게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총 1번~4번까지의 소제목 밑에서 내용이 전개되는데요. 1번: '그 집'에 대한 설명과 묘사 2번: '영주'와 치매를 앓는 '어머니'의 이야기. '의왕터널'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갈등 3번: '그 집'에 사는 '마금이'의 이야기. '마금네'의 돈 욕심으로 인해 .. 2021. 8.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