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국어15

보기만 하면 공부되는 한글 맞춤법 - 제 15항 어간과 어미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습하고 더운, 정말 힘든 장마의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공부하기 힘들겠지만, 그래도 이 시기가 정말 중요한 시기니까. 힘내서 열심히 해요! 샘이 항상 응원하고 있다는 것, 잊지 마시고! 오늘도 #수능국어 #내신국어 #공무원 국어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등등과 관련이 있는 한글 맞춤법 제 15항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제 15항은 제 14항에서 배웠던 것과 연관성이 깊습니다. 제15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다. 먹다 먹고 먹어 먹으니 신다 신고 신어 신으니 믿다 믿고 믿어 믿으니 울다 울고 울어 (우니) 넘다 넘고 넘어 넘으니 입다 입고 입어 입으니 웃다 웃고 웃어 웃으니 찾다 찾고 찾아 찾으니 좇다 좇고 좇아 좇으니 같다 같고 같.. 2022. 6. 29.
보기만 하면 공부되는 한글 맞춤법 - 제 10항 두음법칙(ㄴ탈락)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오늘도 열심히 공부하셨죠? 오늘도 역시 #수능국어 #내신국어 #공무원 국어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등등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한글 맞춤법에 대한 영상을 가지고 찾아왔어요! 오늘은 한글 맞춤법 제 10항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여자(女子) 녀자 유대(紐帶) 뉴대 연세(年歲) 년세 이토(泥土) 니토 요소(尿素) 뇨소 익명(匿名) 닉명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 냥(兩) 냥쭝(兩-) 년(年)(몇 년)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 2022. 5. 30.
보기만 하면 공부되는 한글 맞춤법 - 제 9항 '의'의 표기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셨기를 바라면서! 오늘도 역시 #수능국어 #내신국어 #공무원 국어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등등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한글 맞춤법에 대한 영상을 가지고 찾아왔어요! 오늘은 한글 맞춤법 제 9항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제9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 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의의(意義) 의이 닁큼 닝큼 본의(本義) 본이 띄어쓰기 띠어쓰기 무늬[紋] 무니 씌어 씨어 보늬 보니 틔어 티어 오늬 오니 희망(希望) 히망 하늬바람 하니바람 희다 히다 늴리리 닐리리 유희(遊戱) 유히 그럼 영상을 통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h.. 2022. 5. 19.
보기만 하면 공부되는 한글 맞춤법 - 제 8항 '예'의 표기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이제 제법 더운 나날들입니다. 건강 관리 잘 하면서 공부하고 있죠? 오늘도 역시 #수능국어 #내신국어 #공무원 국어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등등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한글 맞춤법에 대한 영상을 가지고 찾아왔어요! 오늘은 한글 맞춤법 제 8항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제8항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계수(桂樹) 게수 혜택(惠澤) 헤택 사례(謝禮) 사레 계집 게집 연몌(連袂) 연메 핑계 핑게 폐품(廢品) 페품 계시다 게시다 다만, 다음 말은 본음대로 적는다. 게송(偈頌) 게시판(揭示板) 휴게실(休憩室) 그럼 영상을 통해 조금 더 자세히.. 2022. 5. 14.
보기만 하면 공부되는 한글 맞춤법 - 제 7항 'ㅅ'의 표기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점점 날이 좋아지고 있죠? 오늘도 역시 #수능국어 #내신국어 #공무원 국어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등등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한글 맞춤법에 대한 영상을 가지고 찾아왔어요! 오늘은 한글 맞춤법 제 7항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제7항 ‘ㄷ’ 소리로 나는 받침 중에서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은 ‘ㅅ’으로 적는다. 덧저고리 돗자리 엇셈 웃어른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뭇[衆] 옛 첫 헛 그럼 조금 더 자세히,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https://youtu.be/t7nQNl6KBqo 영상에서도 살펴봤듯이, 이 조항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란, 우리말의 음절 끝에서는 7개의 자.. 2022. 5. 12.
보기만 하면 공부되는 한글 맞춤법 - 제 6항 구개음화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맛있는 거 많이 챙겨 먹으면서! 항상 기운 내세요! 오늘도 역시 #수능국어 #내신국어 #공무원 국어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등등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한글 맞춤법에 대한 영상을 가지고 찾아왔어요! 오늘은 한글 맞춤법 제 6항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제6항 ‘ㄷ, ㅌ’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올 적에는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소리 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맏이 마지 핥이다 할치다 해돋이 해도지 걷히다 거치다 굳이 구지 닫히다 다치다 같이 가치 묻히다 무치다 끝이 끄치 그럼 조금 더 자세히,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https.. 2022. 4. 29.
보기만 하면 공부되는 한글 맞춤법 - 제 5항 된소리되기 표기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있죠? 공부하면서도 가끔씩 기분 전환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역시 #수능국어 #내신국어 #공무원 국어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등등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한글 맞춤법에 대한 영상을 가지고 찾아왔어요! 오늘은 한글 맞춤법 제 5항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지 함께 보도록 할까요? https://youtu.be/PrefkrLCFE0 재밌게 보셨나요? 다음에는 제 6항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다음에 봐요! 안녕~ 2022.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