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 한예지/한글 맞춤법

보기만 하면 공부되는 한글 맞춤법 - 제 10항 두음법칙(ㄴ탈락)

by 예지샘 2022. 5. 30.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오늘도 열심히 공부하셨죠?

오늘도 역시 #수능국어 #내신국어 #공무원 국어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등등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한글 맞춤법에 대한 영상을 가지고 찾아왔어요!

 

오늘은 한글 맞춤법 제 10항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여자(女子)    녀자          유대(紐帶)    뉴대
연세(年歲)    년세          이토(泥土)    니토
요소(尿素)    뇨소          익명(匿名)    닉명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

냥(兩)    냥쭝(兩-)    년(年)(몇 년)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남녀(男女)    당뇨(糖尿)    결뉴(結紐)    은닉(隱匿)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신여성(新女性)    공염불(空念佛)    남존여비(男尊女卑)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붙임 2에 준하여 적는다.

한국여자대학           대한요소비료회사

 

이런 규정인데요.

지금부터 영상을 통해, 재밌게 살펴볼까요? 

 

https://youtu.be/dm880tFjnrk

 

 

영상에서도 함께 살펴본 것처럼

 

제 10항은 두음 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제 11항, 제 12항까지 연결됨)

 

두음 법칙은 음운 변동 현상에서 배우는 내용인데, 기억나시나요?

 

기억이 나지 않는 학생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두음 법칙: 일부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에서 발음되는 것을 꺼려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을 의미합니다.

 

우리말의 경우는

1. 두음(단어의 첫머리) 'ㄴ'이 탈락해 녀자()가 아니라 여자(子)로 발음되는 'ㄴ'탈락 현상과

2. 두음의 'ㄹ'이 탈락해 룡궁(龍宮)이 아닌 용궁(龍宮)으로 발음되는 'ㄹ' 탈락 현상

3. 그리고 두음의 'ㄹ'의 'ㄴ' 교체으로 교체되어 로인(老人)이 아니라 노인(老人)이 되는 교체 현상이 있습니다.

 

두음 법칙은 음운 변동 현상이 표기에도 그대로 반영된다는 점, 잊지 마시고요!

이어지는 제 11항, 제 12항 역시 두음 법칙과 관련된 맞춤법 규정이니만큼, 꼭 잘 알아두세요.  

 

 

 

오늘도 고생많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제 11항으로 만나요!

 

안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