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 한예지/한글 맞춤법

보기만 하면 공부되는 한글 맞춤법 - 제 14항 체언과 조사

by 예지샘 2022. 6. 22.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오늘도 열심히 공부하셨죠?

 

샘이 항상 응원하고 있다는 것, 잊지 마시고!

오늘도 #수능국어 #내신국어 #공무원 국어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등등과 관련이 있는

한글 맞춤법 제 14항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제 14항은 제 1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규정입니다. 우선 맞춤법 조항을 확인해볼까요?

 

제 14항 체언은 조사와 구별하여 적는다.

떡이 떡을 떡에 떡도 떡만
손이 손을 손에 손도 손만
팔이 팔을 팔에 팔도 팔만
밤이 밤을 밤에 밤도 밤만
집이 집을 집에 집도 집만
옷이 옷을 옷에 옷도 옷만
콩이 콩을 콩에 콩도 콩만
낮이 낮을 낮에 낮도 낮만
꽃이 꽃을 꽃에 꽃도 꽃만
밭이 밭을 밭에 밭도 밭만
앞이 앞을 앞에 앞도 앞만
밖이 밖을 밖에 밖도 밖만
넋이 넋을 넋에 넋도 넋만
흙이 흙을 흙에 흙도 흙만
삶이 삶을 삶에 삶도 삶만
여덟이 여덟을 여덟에 여덟도여덟만
곬이 곬을 곬에 곬도 곬만
값이 값을 값에 값도 값만

 

이 조항은 한글 맞춤법 제 1항에서 배웠던 내용인

어법에 맞도록 적는 것의 대표적인 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영상을 통해서 확인해볼까요?

 

https://youtu.be/Aqghu-xnQms

 

 

영상에서 말했던

 

체언과 조사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체언: 문장에서 주로 주체적인 성분(주어, 목적어, 보어)을 이루는 단어 라고 볼 수 있죠.

그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몸 체(體)자를 이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체언의 특징은 

① 형태가 변화하지 않음(활용하지 않음). 
② 조사와 결합할 수 있음.
③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음.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고요.

 

(1) 명사: 사물이나 사람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

(2) 대명사: 명사를 대신하여 나타내는 품사

(3) 수사: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품사

 

가 이 체언에 속하는 품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관계언인 조사에 대해 살펴보면,

조사: 문장에서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단어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은 이 조사가 굉장히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국어 문법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조사는 암기를 해두실 필요가 있어요. 특히 격조사는요!)

 

조사의 특징

① 홀로 쓰일 수 없으며, 다른 말에 붙어서 사용됨.
② 서술격 조사 ‘-이다’를 제외하고는 활용되지 않아 형태가 변하지 않음.
③ 다른 조사와 결합해 사용할 수 있음.
④ 보조사는 앞말에 결합하여 의미를 첨가하는 기능을 하므로, 앞말의 격에 상관없이 결합함.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고요.

 

(1) 격조사: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 앞말이 다른 말에 대하여 가지는 일정한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

(2) 보조사: 앞말에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

(3) 접속 조사: 둘 이상의 단어 등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조사

 

가 있습니다.

 

 

품사와 관련된 내용은 국어 문법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부분이니까!국어 시험을 볼 친구들은 꼭 알고 있어야 해요! :D(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샘과 함께 또 공부해요.)

 

 

 

오늘도 고생 많았습니다.

다음 번에 제 15항에서 다시 만나요~ 안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