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 한예지/한글 맞춤법

보기만 하면 공부되는 한글 맞춤법 - 제 13항 겹쳐 나는 소리

by 예지샘 2022. 6. 18.

안녕하세요. 샘입니다.

이제 정말 여름인 것 같습니다. 건강 관리 잘 하시고요!

 

샘이 항상 응원하고 있다는 것, 잊지 마시고!

오늘도 역시 #수능국어 #내신국어 #공무원 국어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등등과 관련이 있는

한글 맞춤법 제 13항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제 13항은 우리가 흔히 '첩어'라고도 부르는. 

비슷한 음이나 같은 음을 반복하는 말에 관한 규정입니다. 우선 맞춤법 조항을 확인해볼까요?

 

 

제13항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딱딱                            딱닥                꼿꼿하다                꼿곳하다
    쌕쌕                            쌕색                놀놀하다                놀롤하다
    씩씩                            씩식                눅눅하다                눙눅하다
 똑딱똑딱                     똑닥똑닥            밋밋하다                민밋하다
 쓱싹쓱싹                     쓱삭쓱삭            싹싹하다                싹삭하다 
 연연불망(戀戀不忘)     연련불망            쌉쌀하다                쌉살하다
 유유상종(類類相從)     유류상종            씁쓸하다                씁슬하다
 누누이(屢屢-)                 누루이              짭짤하다                짭잘하다

 

이 조항은, 한자어인 연연불망, 유유상종, 누누이가 포함되어 있다는 부분에 포인트를 둬서 공부해주세요!

 

제 10항~제 12항에서 배운 것처럼,

원래 한자어의 경우는 ㄴ, ㄹ이 어두에 올 때에는 

단어의 첫머리에서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고, 두번째 음절부터는 본음대로 적어야 했죠?

 

그런데 여기에서 나오는 연연불망, 유유상종, 누누이 같은 것들은 그러한 원칙을 따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예시로는 연연(戀戀)하다, 요요무문(寥寥無聞), 요요(寥寥)하다 등이 더 있어요!

 

두음 법칙이 적용된 예와  제13항에 등장하는 예를 구분해서 기억해주세요!

 

 

자, 그럼 영상을 통해 제 13항. 함께 공부해볼까요?

 

https://youtu.be/zH0rdPKD7eQ

 

 

오늘도 고생 많았습니다.

다음 번에 제 14항에서 다시 만나요~ 안녕!

댓글